Fixed headers - fullPage.js
본문 바로가기

통합검색

원하시는 정보를 빠르게 찾으실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.

소통공간

자유게시판

무분별한 게시, 상업적, 종교적, 정치적, 개인의 사익도모, 상호비방 및 부정적인 글 등은 임의로 삭제되며 게시글 작성 권한이 차단되오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

목록
자유게시판 추석엔 '햅쌀'로 빚은 송편을… / 말·글 갈무리 ⑭
13-09-13 08:34 3,850회 0건

align=top




   설날과 함께 우리 민족 최대 명절로 꼽히는 추석이 코앞이네요. 조상님께 올리는 차례(茶禮)로 빚은 송편이 빠질 수 없겠습니다. 중추가절 추석을 맞아 오늘은 이 송편의 원료인 쌀이 왜 햇쌀도 해쌀도 아닌 햅쌀이 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


   순 우리말에 그해에 새로 난의 뜻을 가진 접두사로는 주로 ~~가 이용됩니다. 햇밤·햇과일·햇보리·햇감자·햇병아리와 같이 대부분의 경우 사이시옷을 붙여서 씁니다. 간혹, 햇콩·햇팥·햇쑥으로 혼동하여 잘못 쓰는 경우를 보게 되는데, 뒤에 오는 음절(音節)이 거센소리이거나 된소리인 명사 앞에서는 ~를 붙여 해콩·해팥·해쑥과 같이 쓰는 게 올바른 표현입니다. 그런데 유별난 것은 쌀의 경우 된 발음임에도 그 앞에 ~을 붙여 햅쌀이라고 한다는 사실입니다.



   유독 그 해에 새로 난 쌀만 햇쌀해쌀도 아닌 햅쌀이 된 이유는 뭘까? ‘10세기 고려 시대부터 16세기 말 조선 초기까지 사용하던 중세(中世) 국어에서 처럼 낱말 첫머리에 소리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랍니다. , () () () 등은 중세 국어에서 ‘ㅂ살’ ‘ㅂ대’ ‘ㅂ시와 같이 단어 첫음절에 이 붙어있던 말입니다. 그 영향으로 현대 국어에서 홀로 쓰일 때 소리가 나타나지 않다가 입쌀 찹쌀 멥쌀 햅쌀처럼 몇몇 다른 낱말이나 접두사에 붙여 쓸 때 소리가 되살아나기 때문이지요.



   볍씨(+), 입때(+), 접때(+), 눈을 부릅뜨다(눈을 부르+뜨다), 휩싸다(+싸다), 댑싸리(+싸리) 등도 비슷한 예입니다. 이 경우 벼씨, 이때, 저때, 부르뜨다, 휘싸다, 대싸리라 하지 않듯이 말입니다. 이처럼 현대국어에서는 실제 발음을 고려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고 있습니다. 햅쌀로 빚은 송편 맛나게 드시면서 즐거운 한가위 보내십시오.


align=top






   ◇ 이 글은 인터넷신문 뉴데일리(New Daily) 어문 칼럼 말글갈무리에 게재했던 기사( http://www.newdaily.co.kr/news/article.html?no=56067 )를 리라이트했습니다.
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목록

Fixed headers - fullPage.js